본문 바로가기

Think/Christianity

율법을 폐하는가 완성하는가에 대한 질문 율법을 폐하는가 완성하는가에 대한 질문질문: 로마서 3장 30절 31절 30 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또는 무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실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라 31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폐하느뇨 그럴수 없는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. 마태복음 5장 17절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폐하러 온것이 아니요 완전케 하려 함이로라. 히브리서10장 9절 그 후에 말씀하시기를 보시옵소서 내가 하나님의 뜻을 행하러 왔나이다 하셨으니 그 첫 것을 폐하심은 둘째것을 세우려 하심이니라 . 위 말씀을 보면 율법을 굳게 세운다 완전케 함이로라 폐하신다 가 나오는데 위3가지 의미가 저의 생각은 모두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는데 ( 성경토론에서 여기 교인들은 폐한것이.. 더보기
여로보암의 길 - 박상봉 여로보암의 길 - 박상봉 홈지기 | 2004·06·17 19:47 | HIT : 1,005여로보암의 길 왕상 12:25-33 “여로보암의 길”이라는 용어는 북이스라엘 열왕들의 기록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. 이 용어는 북 이스라엘의 신앙적 본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용어이다. 즉, 그들의 종교적 타락의 성격이 무엇이며, 그 타락이 가져다 주는 현실적 심판들이 무엇인가를 살필 수 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, 여러보암의 길을 단순히 불신앙의 문제로 취급하기 이전에, 타락한 인간의 본질이 추구하는 종교성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된다. 왜냐하면, 이 문제는 북 이스라엘 왕들이 살았던 시대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, 타락 이후 인간이 존재하는 모든 곳에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. 즉,.. 더보기
누가복음 11:38-42 이제 그들이 길을 가고 있을 때에 주님께서 어떤 마을로 들어가시니, 마르다라 하는 한 여자가 주님을 자기 집으로 영접 하니라.그녀에게는 마리아라 하는 한 여동생이 있었는데, 예수님의 발 앞에 앉아 주님의 말씀을 듣더라.그러나 마르다는 섬기는 일이 많아서 경황이 없더니 주님께 와서 말씀드리기를, 주님, 내 동생이 나 혼자만 섬기게 내버려두어도 상관치 아니하시나이까? 그녀에게 명령하시어 그녀가 나를 돕게 하소서, 하니예수님께서 그녀에게 대답하여 말씀하시기를, 마르다야, 마르다야, 네가 많은 일들에 대하여 염러하고 근심하나다만 필요한 일은 한 가지 뿐이니라. 마리아는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, 그녀에게서 그것을 빼앗아가지 못하리라, 하시니라. 더보기
예레미야 9:23-24 주가 이같이 말하노라. 지혜로운 자는 자기의 지혜를 자랑하지 말며, 강한 자는 자신의 힘을 자랑하지 말며, 부자는 자기의 부를 자랑하지 말라.그러나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, 그가 깨달아 나를 알아서, 내가 그 땅에서 인자와 공의와 의를 주관하는 주인 것을 아는 것이니, 이는 이 일들을 내가 기뻐하기 때문이라. 주가 말하노라 더보기
바울의 선교여행 1차 선교 여행 2차 선교 여행 3차 선교 여행제공 : 등불성경 www.rodembooks.com 1차선교여행예루살렘종교회의2차선교여행 - 갈라디아서, 데살로니가전.후서(고린도)3차선교여행 - 고린도전서(에베소). 고린도후서(마케도니아), 로마서(고린도)로마행(죄수) 옥중서선 - 골로새서, 빌레몬서,에베소서 / 빌립보서목회서신 - 디모데전.후서, 디도서 더보기
한 눈에 보는 예수의 행적 더보기
예수 시간순 일대기 더보기
열왕기상하 물고기 그림 더보기
성경에 나오는 성전 1. 성막2. 솔로몬 성전 (제1성전)3. 스룹바벨 성전 (제2성전)4. 헤롯 성전 (제2성전 증축)5. 새 예루살렘 더보기
[펌글] 이스라엘의 5대 제사 - 번제, 소제, 화목제, 속죄제, 속건제 번제(Burnt offering) 이스라엘의 5대 제사 가운데 하나로, 상번제나 특별한 절기 때 가장 많이 사용하던 제사양식이다. 번제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‘올라’(?lah)는 연기가 제물로부터 하나님께 올라가는것을 의미한다.(삿 13:20 참고) 제물을 태워 드리는 제사는 번제 이외에도 있지만 ‘완전히’태워 드리는 제사는 이것밖에 없다. 번제가 희생 제물 전체를 하나님께 온전히 드린다는의미에서 태우는 의식 자체는 이차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. 번제는 일반적으로 소제나 전제와 함께 드려졌다.(출 29:38-46; 민 15:1-16) 그러나 가난한자들이 산비둘기나 집비둘기를 드릴 때는 다른 제사를 첨부하여 드리라고 요구하지는 않았다. 번제는 버려질 더러운 부분을 제외하고는 희생 제물 전체를 모두 태워 드.. 더보기